공부 17

[Chap01] HTTP 동작원리

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 웹 문서를 작성하는 표준 마크업 HTML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를 태그라고 하며, 괄호 ''를 사용하여 태그를 구성함 최상위 태그는 하위 태그에는 문서 정의하는 Inline - CSS 파일을 별도로 만들어서 링크를 연결하는 방식 - 스타일을 적용하려는 태그에 직접 선언 - 유지 보수가 불편해서 테스트 용으로 주로 사용 3)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W3C에서 개발된 마크업 언어로 SGML 언어의 장점과 HTML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음 웹 환경에서 문서를 저장하고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게 용이함 전자상거래, 수학/과학 표기, 그래픿/멀티미디어, 인터넷 모바일, 전자출판 등에 사용되고 있음 cf)..

[Chap5] 제어 장치

01 제어 장치의 기능 제어 장치 ; 컴퓨터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CPU의 핵심 부분 주기억 장치, ALU, I/O 장치에 프로세서가 전송한 명령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함 주기억 장치에서 명령어를 읽어 CPU의 IR로 가져오고 제어 장치는 IR의 opcode를 기반으로 명령어 실행을 지시하는 세부적인 제어 신호 발생 제어 장치의 기본 기능 1) CPU에 접속된 장치들에 대한 데이터 이동 순서를 조정 2) 명령어를 해독 3) CPU 내 데이터 흐름을 제어 4) 외부 명령을 받아 일련의 제어 신호를 생성 5) CPU에 포함된 많은 실행 장치(예를 들어 ALU, 데이터 버퍼, 레지스터)를 제어 6) 명령어 인출, 명령어 해독, 명령어 실행 등을 순서에 맞추어 처리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 ; 기억장치 버..

[Chap4] 중앙 처리 장치

01 프로세서 구성과 동작 [1] 컴퓨터 기본 구조와 프로세서 컴퓨터의 3가지 핵심 장치 ;프로세서(Processor,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 현대의 시스템 구조 ; 폰 노이만이 만듦 메모리 내장 방식 프로그램 명령어 순차 실행 버스(Bus) ; 장치 간에 주소, 데이터,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통로(연결선) 내부 버스(internal bus) : 프로세서 내부의 장치 연결 시스템 버스(system bus) : 핵심 장치 및 주변 장치 연결 프로세서 = CPU 메모리 = 메모리 모니터, HDD, USB ... = I/O 장치 [2] 프로세서 구성 요소 산술 논리 연산 장치 ; 산술 및 논리 연산 등 기본 연산을 수행 제어 장치 ;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가져와 해독하고 실행에 필요한 장치들..

[Chap3] 디지털 논리 회로

01 논리 게이트 [1] 논리 게이트의 개념과 종류 논리게이트 ; 입력 단자 1개 이상과 출력 단자 1개로 구성되는 전자 회로 동작 설명을 위해 진리표 사용 NOT 게이트 ; 1개의 입력과 1개의 출력을 갖는 게이트로 부정을 표현 버퍼 게이트 ; 입력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여 단순 전송을 표현 3상태 버퍼 게이트 ; 출력이 Low High, 하이 임피던스 중 하나 제어 단자 E를 통해서 회로를 개폐함 E위에 바 붙으면 NOT을 의미. 즉 원래는 1일 때 열리는데, E'면 0일때 열림 AND 게이트 ; 입력이 모두 1인 경우에만 출력이 1이 됨 입력 중 하나라도 0이 있으면 출력이 0이 되는 논리곱 OR 게이트 ; 입력이 모두 0인 경우에만 출력이 0 입력 중 1이 하나라도 있으면 출력은 1이 되는 논리합 ..

[Chap2] 데이터의 표현(2)

05 에러 검출 코드 [1] 패리티 비트 ; 에러 검출 코드로 가장 간단하게 사용되고, 주로 컴퓨터 내부의 주기억 장치에서 사용함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전달할 데이터에 패리티를 붙여서 전송 여러 비트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검출이 되지 않음 에러가 난 곳이 어디인지 모름 짝수 패리티 ;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짝수로 맞춰줌 홀수 패리티 ;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홀수로 맞춰줌 [2] 해밍 코드 ; 패리티 비트를 응용하여 에러를 정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한 비트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 위치를 찾을 수 있음 원본 데이터 외에 추가적으로 많은 비트가 필요 추가되는 패리티 비트의 수는 2^p ≥ d+p+1에 의해서 계산 가능 (p: 패리티 비트 수, d: 데이터 비트 수) 짝수 패리티를 사용 원본 데이터가 00..

[Chap2] 데이터의 표현

01 진법과 진법 변환 [1] 디지털 정보의 단위 bit ; 컴퓨터 정보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 단위 (0과 1 두 가지 상태만 저장 가능) nibble == 4bit, byte == 8bit n 비트로 2^n 개의 상태 표현이 가능 byte 영어는 1바이트(52개 필요), 한글은 2바이트가 필요(11172개 필요) [2] 진법 기수 ; 진법을 나타내는 기본 수 기수가 10이면 10진법, 기수가 2면 2진법 10진법 ; 각 자릿수를 0-9 사이의 수로 나타냄. 소수점을 왼쪽은 10의 양의 거듭 제곱, 소수점 오른쪽 10의 음의 거듭 제곱 2진법 ; 0과 1 기호 2개를 사용 8진법 ; 0부터 7까지 기호 8개 사용 cf) 컴퓨터 구조나 어셈블리어에서는 16진수를 많이 사용 [3] 진법 변환 ; 정수 부분은..

[Chap1] 서론

01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컴퓨터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됨 컴퓨터의 기본 구성도 [1] 하드웨어 ; 컴퓨터에서 각종 정보를 입력하여 처리하고 저장하는 동작이 실제 일어나게 해주는 물리적인 실체 컴퓨터의 성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결정됨 구성 중앙 처리 장치, 주기억 장치, 보조 기억 장치,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시스템 버스로 구성됨 (1) 중앙 처리 장치(CPU) ; 인간의 두뇌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프로그램 실행과 데이터 처리를 담당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라고도 부름cf) 마이크로프로세서 : CPU를 IC 칩 1개에 집적한 반도체 소자 산술 논리 연산 장치(ALU) : 산술 연산, 논리 연산, 보수 연산, shift 연산 수행 제어 장치(CU) : 1) 프로그램의 명령어 해독, 2) 명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