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17

[Chap8] 버스와 입출력

01 CPU 칩과 시스템 버스 시스템 버스 ; CPU와 메모리, 입출력 장치 간 정보를 교환하는 통로 시스템 버스는 CPU 칩에 있는 다양한 핀과 연결함 [1] CPU 칩 CPU 칩에는 통신에 필요한 핀들이 있는데 입력이나 출력 중 하나만 가능한 핀도 있고, 입출력이 모두 가능한 핀도 있음 CPU 핀 ; 주소, 데이터, 제어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유형 별로 묶어 버스라고 한다. 주소 버스(핀) : 명령을 인출 할 때 해당 명령의 메모리 주소를 출력하는 것 CPU 성능을 결정하는 변수 (1) 주소핀의 수(주소 버스 크기) → 주소핀의 수가 m개이면 메모리 주소를 최대 2^m개 지정 가능 (2) 데이터 핀의 수(데이터 버스 크기) → 데이터 핀의 수가 n개이면 명령 한 번으로 n비트 워드를 읽거나 쓰기 ..

[Chap7] 보조 기억 장치(2)

04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 디스크를 배열 구조로 연결하여 용량을 늘리고 액세스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목적으로 만들어진 기억장치 등장 배경 : 디스크 액세스 시간의 대부분이 기계 장치들이 동작하는 시간이라 속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서 처음에는 명칭이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였다. 그러나 저장 기술의 발전으로 용량 대비 가격이 하락되어 비용보다 데이터의 안정성, 오류 정정, 디스크 장애에 의한 데이터의 손실 방지 측면이 강조되어 Independent로 바뀌게 됨 RAID에 사용되는 기술 스트라이핑 : 데이터를 여러 조각으로 분할하여 여러 개의 디스크에 분산해서 저장하는 기술 미러링 : 하나의 데이터를 디스크..

[Chap7] 보조 기억 장치

01 자기 디스크 [1] 자기 기억 장치의 동작 원리 자성 : 자석의 성질 자화 : 어떤 물질이 자성을 띠게 되는 것 자기장 : 자석의 힘이 미치는 공간 자성체 :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화될 수 있는 물질 강 자성체 :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고, 자기장이 사라져도 자성이 남음 상 자성체 : 외부 자기장에 두면 약하게 자화되지만 자기장이 사라지만 자성이 없어짐 반 자성체 : 외부 자기장과 반대 방향으로 자화됨 자성을 이용해 정보를 쓸 때 앙페르의 법칙 :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 주변에 자기장이 생기고, 이 자기장을 통해 강 자성체를 자화시킴. 자기장의 방향은 입력 신호가 0이면 그대로, 1이면 반대로 바뀐다. 패러데이의 법칙 : 코일 주변을 지나가는 강 자성체의 자기장이 변하면 코일에 유도 전류가 ..

링크 계층

Kocw에서 제공하는 한양대학교 이석복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를 수강한 후, 정리한 글입니다.(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312397) 교재 : Computer networking : a top-down approach PPT : https://gaia.cs.umass.edu/kurose_ross/ppt.htm V7.1 우리가 여태까지 호스트-라우터까지 직선으로 표현했던 선 자체를 구체화 시켜보자.개요호스트와 라우터 사이에는 전용선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용선을 통해서 패킷이 전송된다.링크 레이어에서는 충돌을 피하면서 패킷을 잘 보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구글로 향하는 패킷이 GW 라우터에 전달되어야 한다. 이 패킷의 목적지는 구..

공부/네트워크 2021.05.24

네트워크 계층

Kocw에서 제공하는 한양대학교 이석복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를 수강한 후, 정리한 글입니다.(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312397) 교재 : Computer networking : a top-down approach PPT : https://gaia.cs.umass.edu/kurose_ross/ppt.htm V7.1 네트워크에서는 라우터를 기억하자! 네트워크 계층은 IP가 중요하다. IP가 중요한 이유 : 현재 인터넷은 TCP/IP 기반으로, 라우터들이 IP 패킷을 씌운 정보만 이해해서 넘기기 때문에. 라우터 라우터가 하는 기능 포워딩 ; 들어온 패킷을 포워딩 테이블을 참조해서 올바른 위치로 보내주는 것 포워딩 자체는 단순하지만, 이..

공부/네트워크 2021.05.23

전송 계층(2)

Kocw에서 제공하는 한양대학교 이석복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를 수강한 후, 정리한 글입니다.(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312397) 교재 : Computer networking : a top-down approach PPT : https://gaia.cs.umass.edu/kurose_ross/ppt.htm V7.1 Pipelined protocols 현실적인 TCP 동작은 오른쪽처럼 일어난다. (한 번에 많이 보냄) 한 번에 많은 패킷이 동시에 나갔다가 그것에 대한 피드백을 일일이 처리하니까 RDP보다 복잡하다. 한 번에 일을 처리하는 파이프라인 방식의 일반적인 방법이 go-Back-N과 selective repeat이다. TCP ..

공부/네트워크 2021.05.19

전송 계층(1)

Kocw에서 제공하는 한양대학교 이석복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를 수강한 후, 정리한 글입니다.(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312397) 교재 : Computer networking : a top-down approach PPT : https://gaia.cs.umass.edu/kurose_ross/ppt.htm V7.1 전송 계층에는 TCP와 UDP가 있다. 전송 계층에서는 보내는 컴퓨터와 받는 컴퓨터의 TCP/UDP만 알 수 있다. 네트워크 내부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다룬다. 인터넷 : 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의 연결 애플리케이션의 전송 단위는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는 소켓을 통해 내려오게 되고, 전송 계층의 전송 단위인 세그..

공부/네트워크 2021.05.18

[Chap6] 기억 장치(2)

03 캐시 기억 장치 기억 장치의 액세스 시간이 길면, CPU의 처리 속도가 빨라도 시스템 성능이 낮아짐 캐시 ; CPU의 처리 속도와 기억 장치의 액세스 시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등장한 것 캐시는 CPU와 인접한 장소에 위치 or CPU 내부에 포함됨 SRAM을 사용하여 DRAM을 사용하는 주기억 장치의 액세스 시간보다 짧다. SRAM이 훨씬 고가이기 때문에 캐시의 저장 용량은 주기억 장치의 저장 용량에 비해 적다. 캐시의 동작 (1) 캐시기억장치가 없는 컴퓨터 시스템의 기억장치 접근 CPU가 명령어와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해서 주기억장치에 접근 주기억장치에서 명령어나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CPU 내의 명령어 레지스터 등에 저장 (2) 캐시기억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 CPU가 명령어 또는 ..

[Chap6] 기억 장치

01 기억 장치 시스템의 개요 기억장치 ; 컴퓨터 시스템에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주기억장치 ; 중앙처리장치와 접근 통신이 가능한 기억장치 CPU와 연결되어 있다. 보조기억장치 ; 현재는 필요하지 않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요구하는 경우 주기억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저장장치 외부에 존재한다. [1] 기억 장치의 종류와 특성 위치에 따른 분류 위치 : 컴퓨터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기준 내부기억장치 : CPU 내부의 레지스터와 주기억 장치 외부기억장치 :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용량에 따른 분류 용량 : 기억 장치가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총량으로 바이트나 워드로 나타냄 바이트 : 1바이트 = 8비트, 일반적으로 외부 기억 장치가 용량을 표시하는 방법..

애플리케이션 계층

Kocw에서 제공하는 한양대학교 이석복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를 수강한 후, 정리한 글입니다.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312397) 교재 : Computer networking : a top-down approach PPT : https://gaia.cs.umass.edu/kurose_ross/ppt.htm V7.1 우리는 현재에도 웹 브라우저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인터랙션 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셀 수 없이 많이 존재하고, 대표적으로 HTTP 기반의 Web이 있다. Principles of network applications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 운영체제 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이 다른 머신에 있는 프로세스와 메시..

공부/네트워크 2021.05.02